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inking/Concept3

의사 코드(Pseudo Code)(슈도 코드, 가짜 코드)란? 의사 코드(Pseudo Code)(슈도 코드, 가짜 코드)란? Pseudo(슈도, 수도)는 '가짜의', '모조의', '허위의', '의사의(비슷하여 분간하기 어려움)'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의사 코드는 프로그램을 실제로 작성하기 전 실제 코드를 대략적으로 흉내내어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작성한 코드를 말한다. 물론 이름의 뜻처럼 가짜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 프로그래밍 툴에서 컴파일 되지 않는다. 자신이 이해하기 편한 자연어나 팀원들이 익숙한 언어를 모방하여 실행 가능성을 배제한 채 작성되었기 때문에 의사 코드라 한다. 예를 들어서 구구단을 출력하는 코드를 슈도코드로 작성하였을 때 다음과 같다. // 자연어에 익숙한 경우 반복 A는 2~9까지 반복 B는 2~9까지 출력 'A' * 'B' = A*B.. 2023. 9. 3.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알고리즘(Algorithm)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 문제 해결 방법을 정의한 '일련의 단계적 절차'이자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들의 모임'이다. 컴퓨터가 따라 할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나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과정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컴퓨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방법 또는 절차이며, 문제해결 방법을 순서대로, 절차대로 나열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알고리즘의 유래 알고리즘은 9세기 페르시아(이란)의 과학자인 무함마드 이븐 무사 알-콰리즈미(al-Khwarizmi)의 이름을 라틴화한 단어이다. 그는 수학, 천문학, 지리학에 능통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를 근대 수학의 아버지로 칭한다. 알고리즘(Algorithm)과 대수학(A.. 2023. 8. 30.
컴퓨팅적 사고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팅적 사고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팅적 사고란 란 단편적인 학습에서 벗어나 복합적 사고로 나가는 수단으로, 창의적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컴퓨터의 해결 능력인 데이터 수집ㆍ분석, 표현, 문제 분해ㆍ추상화, 자동화 등을 사고에 적용시켜 여러 분야에서 문제 해결을 하는 데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컴퓨팅적 사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컴퓨터(사람이나 기계)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문제를 정의하고 그에 대한 답을 기술하는 것이 포함된 사고 과정 일체를 일컫는다. 정답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가지일 수 있는 문제(Open-ended Problem)는 다양한 변수에 기반한 포괄적이며 유의미한 해답 도출이 필요한데, 컴퓨팅 사고를 통해서 .. 2023. 8.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