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inking97

C++ BAEKJOON 2751번 : 수 정렬하기2 [C++] BAEKJOON 2751번 : 수 정렬하기2 백준온라인 2751번 수 정렬 문제 문제-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및 출력- input ex) 5 5 4 3 2 1 - output ex) 1 2 3 4 5 문제 풀이 입력 받는 수가 최대 1,000,000개로 크기가 크다. 저장 되는 영역(스택, 힙, 데이터)을 신경쓰도록한다.첫째 .. 2023. 9. 14.
Sort 병합 정렬(Merge Sort) 알고리즘 [Sort] 병합 정렬(Merge Sort) 알고리즘 병합정렬이란?병합 정렬(Merge Sort)은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식을 이용한다. 하나의 리스트를 두 개의 균등한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리스트를 정렬한 다음, 두 개의 정렬된 부분 리스트를 합하여 전체가 정렬된 리스트가 되게 하는 방법이다. 병합하는 과정에서 재귀적으로 반복하며 풀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이 1945년에 개발데이터 분포도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시간복잡도가 O(NlogN)인 안정적인 정렬 방식에 속한다.두 개의 배열을 병합할 때 병합 결과를 담아 놓을 배열이 추가로 필요하다. 따라서 공간 복잡도는 O(N) 이다.다른 정렬 방법은 연결리스트에서 각 데이터.. 2023. 9. 13.
Sort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알고리즘 [Sort]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알고리즘 삽입 정렬은 두 번째 원소부터 시작하여 앞의 원소들을 비교하고, 삽입할 위치를 정한다. 삽입할 위치가 정해졌으면 대상 위치 부터 자신의 바로 앞 위치까지 있는 원소들을 한 칸씩 뒤로 옮겨 들어갈 자리를 만든 후 삽입해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가나다 순으로 되어있는 책들 사이에 끼워 넣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필요가 있는 카드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아래는 삽입 정렬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1회차   - 2번째 원소 3을 Key로 두고 앞에 있는 5와 비교하고 자리를 바꾼다.2회차   - 3번째 원소 1을 Key로 설정하고 앞에있는 5와 3을 비교하고 뒤로 한 칸씩 밀어낸다.   - 비어있는 첫 번째 원소 자리에 1을 삽입한다.3회차   - 4번.. 2023. 9. 3.
의사 코드(Pseudo Code)(슈도 코드, 가짜 코드)란? 의사 코드(Pseudo Code)(슈도 코드, 가짜 코드)란? Pseudo(슈도, 수도)는 '가짜의', '모조의', '허위의', '의사의(비슷하여 분간하기 어려움)'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의사 코드는 프로그램을 실제로 작성하기 전 실제 코드를 대략적으로 흉내내어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작성한 코드를 말한다. 물론 이름의 뜻처럼 가짜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 프로그래밍 툴에서 컴파일 되지 않는다. 자신이 이해하기 편한 자연어나 팀원들이 익숙한 언어를 모방하여 실행 가능성을 배제한 채 작성되었기 때문에 의사 코드라 한다. 예를 들어서 구구단을 출력하는 코드를 슈도코드로 작성하였을 때 다음과 같다. // 자연어에 익숙한 경우 반복 A는 2~9까지 반복 B는 2~9까지 출력 'A' * 'B' = A*B.. 2023. 9. 3.
Sort 버블 정렬(Bubble Sort) 알고리즘 [Sort] 버블 정렬(Bubble Sort) 알고리즘버블 정렬(Bubble Sort)이란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배열 A[N]이 있을 경우 배열의 원소 A[n]과 ~ A[n+1]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가장 큰 수를 맨 뒤로 이동하는 방법이다.가장 큰 자료가 맨 뒤로 이동하므로 맨 끝 원소는 검사 및 정렬에서 제외된다. 반복횟수마다 검사하는 원소가 줄어드는 이유이다. 5개의 원소 안에 {5, 3, 1, 4, 2} 의 원소가 들어가 있을 경우 버블 정렬은 아래 그림과 같다.1회차   - 5와 3을 비교 후 자리를 바꾼다.   - 5와 1을 비교 후 자리를 바꾼다.   - 5와 4를 비교 후 자리를 바꾼다.   - 5와 2를 비교 후 자리를 바꾼다.   - 마지막 자리수는 이.. 2023. 9. 3.
Sort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알고리즘 [Sort]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알고리즘 선택 정렬은 원리가 간단한 정렬 알고리즘 중 하나다.배열[A ··· n] 에서 가장 큰 원소를 마지막 원소와 자리를 바꾸거나, 가장 작은 원소를 제일 앞 원소와 자리를 바꾸는 것이다.자리 바꾸기가 완료되면 그 원소가 있는 자리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배열 { 3, 5, 1, 4, 2} 가 있을 때, 뒤에서 부터 오름차순 정렬하는 모습은 다음과 같다.*보통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인덱스는 0번 부터 시작한다.{ 3, 5, 1, 4, 2} 중 가장 큰 수 '5'를 찾는다. ('5'는 인덱스 1번에 있다.){ 3, 2, 1, 4, 5} '5'를 가장 뒤에 있는 '2'와 자리를 바꾼다. (1번 인덱스와 4번 인덱스 자리 바꿈){ 3, 2, 1, 4, 5.. 2023. 9. 2.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알고리즘(Algorithm)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 문제 해결 방법을 정의한 '일련의 단계적 절차'이자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들의 모임'이다. 컴퓨터가 따라 할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나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과정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컴퓨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방법 또는 절차이며, 문제해결 방법을 순서대로, 절차대로 나열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알고리즘의 유래 알고리즘은 9세기 페르시아(이란)의 과학자인 무함마드 이븐 무사 알-콰리즈미(al-Khwarizmi)의 이름을 라틴화한 단어이다. 그는 수학, 천문학, 지리학에 능통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를 근대 수학의 아버지로 칭한다. 알고리즘(Algorithm)과 대수학(A.. 2023. 8. 30.
컴퓨팅적 사고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팅적 사고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팅적 사고란 란 단편적인 학습에서 벗어나 복합적 사고로 나가는 수단으로, 창의적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컴퓨터의 해결 능력인 데이터 수집ㆍ분석, 표현, 문제 분해ㆍ추상화, 자동화 등을 사고에 적용시켜 여러 분야에서 문제 해결을 하는 데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컴퓨팅적 사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컴퓨터(사람이나 기계)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문제를 정의하고 그에 대한 답을 기술하는 것이 포함된 사고 과정 일체를 일컫는다. 정답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가지일 수 있는 문제(Open-ended Problem)는 다양한 변수에 기반한 포괄적이며 유의미한 해답 도출이 필요한데, 컴퓨팅 사고를 통해서 .. 2023. 8. 29.
메모리 구조 (코드영역, 데이터영역, 힙영역, 스택영역) 메모리 구조 (코드영역, 데이터영역, 힙영역, 스택영역) 흔히 메모리라고 하면 RAM을 지칭한다.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로부터 할당받는 대표적인 메모리 공간은 다음과 같다. 코드(code) 영역 데이터(data) 영역 스택(stack) 영역 힙(heap) 영역 코드(code) 영역 메모리의 코드(code) 영역은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데이터(data) 영역 메모리의 데이터(data) 영역은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와 정적(static)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데이터 영역은 프로그램의 시작과 함께 할당되며,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소멸한다. 스택(stack) 영역 메모리의 스택(stack)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 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스택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2022. 12. 20.
1Byte는 왜 8bit일까? 1Byte는 왜 8bit일까? 계산하기 편한 10진수를 놔두고 8bit를 1byte로 약속한 것일까? 수학을 배우면서 10진수에 익숙해진 우리들은 한 번쯤 궁금했던 질문일 것이다. 어느정도의 배경 지식이 받쳐준다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예전 컴퓨터를 찾아보면 byte를 4~10bit로 사용되던 것을 볼 수 있는데, 현대에 와서는 '1옥텟(8bit)'를 기준으로 삼는다. 단순한 계산부터 I/O기능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작은 공간만 있어도 충분했지만, 문자를 처리하게 되면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적절한 크기를 찾아야만 했다. 지금은 가정용 컴퓨터만 봐도 256GB~1TB크기의 저장공간을 사용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MB단위도 귀중하게 쓰였기 때문에 1bit의 공간도 소중하게 쓰여야 했.. 2022. 9. 28.
C++ BAEKJOON 15552번 빠른 A+B [C++] BAEKJOON 15552번 : 빠른 A+B 방법 1 : C 표준 입출력 stdio.h 쓰기C언어의 표준 입출력 scanf()와 printf() 사용해당 입출력은 매우 빠른편이다. 방법 2 :  iostream의 default 설정을 수정1. C++와 C 표준 스트림의 동기화 해제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를 추가2. 입력과 출력 연결을 끊어주기 : cin.tie(NULL);#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int n; int a, b; cin >> n; for (int i = 0; i > a.. 2022. 8. 17.
C++ BAEKJOON 25304번 영수증 [C++] BAEKJOON 25304번 : 영수증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int x, n, a, b, sum = 0; cin >> x >> n; for (int i = 0; i > a >> b; sum += a * b; } if (x == sum) { cout 2022.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