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처 매핑과 UV 좌표 3D 모델에 생명을 불어넣는 기술!
게임 속 3D 오브젝트가 현실처럼 보이려면 단순한 회색 면이 아니라 나무, 금속, 벽돌, 물 등 다양한 표면 질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3D 모델은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일 뿐, 처음부터 이런 표면을 가지고 있지는 않죠.
이때 2D 이미지를 3D 모델의 표면에 입히는 기술이 바로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입니다!
그리고 이 텍스처를 올바르게 배치하는 핵심 기술이 UV 매핑(UV Mapping)이죠.
이번 글에서는 텍스처 매핑과 UV 좌표의 개념,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
🖌 1.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이란?
📌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이란, 2D 이미지를 3D 모델의 표면에 입히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3D 오브젝트의 피부(표면 재질)를 추가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텍스처 매핑이 필요한 이유
✅ 3D 모델을 더 현실적으로 보이게 만든다.
✅ 단순한 3D 모델에도 복잡한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다.
✅ 고해상도 모델링을 하지 않아도 가벼운 리소스로 디테일을 추가할 수 있다.
📌 예제: 텍스처 매핑이 적용된 경우 vs. 적용되지 않은 경우
3D 모델설명
🎨 텍스처 매핑을 하면 나무처럼 보이고, 금속처럼 반짝이며, 벽돌처럼 거칠게 보이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 2. UV 좌표(UV Mapping)란?
🎭 (1) 3D 모델에 2D 이미지를 정확히 배치하려면?
3D 모델은 X, Y, Z 축으로 이루어진 3D 공간 좌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텍스처는 2D 이미지이므로, 3D 모델의 표면과 2D 텍스처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를 정의해야 합니다.
📌 이때 사용하는 것이 UV 좌표(UV Mapping)입니다!
- U, V는 2D 텍스처의 좌표 (X, Y 대신 U, V 사용)
- 3D 모델의 각 정점(Vertex)에 U, V 값을 지정하여 텍스처의 특정 부분을 매핑
🎬 (2) UV 좌표를 이해하는 쉬운 예제
👉 3D 공에 지도를 입히기
- 3D 공이 있음 (단순한 기하학적 모델)
- 2D 텍스처(세계 지도)를 공에 맞게 감싸야 함
- UV 매핑을 이용하여 텍스처를 공에 정확하게 배치
결과: 지구본처럼 보이는 3D 공이 완성! 🌍
🚀 3. UV 매핑을 잘못하면 어떻게 될까?
UV 매핑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텍스처가 찢어지거나, 뒤틀리거나, 엉뚱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 UV 매핑 오류 사례
문제설명
텍스처 찢어짐 | UV 좌표가 올바르게 배치되지 않으면 텍스처가 이상하게 늘어남 |
텍스처 뒤집힘 | UV 좌표가 반대로 설정되면 텍스처가 뒤집힌 상태로 표시됨 |
잘못된 스케일 | UV가 균등하지 않으면 텍스처가 일부 영역에서 늘어나거나 축소됨 |
🎨 4. UV 언래핑(Unwrapping)이란?
UV 언래핑(UV Unwrapping)이란, 3D 모델을 2D 평면으로 펼쳐서 텍스처를 정확하게 매핑하는 과정입니다.
👉 마치 종이접기를 반대로 해서 3D 모델을 평면으로 펼치는 것과 비슷합니다.
📌 게임에서 UV 언래핑을 잘해야 하는 이유
✔ 텍스처가 찢어지거나 어색하게 보이지 않도록 올바르게 배치 가능
✔ 같은 텍스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적화 가능
✔ 복잡한 모델도 텍스처를 쉽게 적용 가능
🎮 5. UV 매핑과 텍스처 매핑을 활용하는 분야
✅ 게임 개발 → 캐릭터, 배경, 아이템 등에 텍스처 적용
✅ 애니메이션 → 3D 캐릭터 모델링 시 얼굴과 의상에 텍스처 적용
✅ 건축 시각화 → 건물 외벽, 바닥, 유리창 등에 텍스처 매핑
✅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 실감 나는 3D 오브젝트 표현
🏆 6. 결론
✔ 텍스처 매핑은 3D 모델에 2D 이미지를 입혀 현실감과 디테일을 추가하는 과정이다!
✔ UV 좌표(UV Mapping)는 3D 모델과 2D 텍스처를 올바르게 연결하는 방법이다!
✔ UV 언래핑을 잘해야 텍스처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 게임 그래픽을 만들 때 UV 매핑을 잘 활용하면 훨씬 더 멋진 3D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더 공부해볼 만한 주제!
🔹 유니티에서 UV 매핑 적용하기 (Shader & Material 설정)
🔹 블렌더(Blender)에서 UV 언래핑 실습
🔹 PBR(Material)과 결합하여 사실적인 텍스처 표현하기
💡 UV 매핑과 텍스처 매핑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나요?
어려운 부분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Thinking > Graph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반사광(Diffuse Reflection) 부드러운 빛이 만드는 현실감 (1) | 2025.02.17 |
---|---|
직접광과 간접광 빛이 게임 그래픽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16 |
공간 변환(Transformation)이란?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16 |
래스터라이저(Rasterizer)란?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16 |
픽셀 쉐이더(프래그먼트 쉐이더)란?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16 |